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한글자막을 선택하고 보세요.

1개의 댓글

미국에서 재배되는 콩의 94%, 옥수수의 93%, 면화작물의 96%, 사탕수수의 90%가 GMO라고 합....니....다.... 현재로써는 GMO 식품 수입에 대한 제한이 없는데, 우리 이거 다 먹고 있는 거군요.... 콩 먹으면 건강에 좋은 건 줄 알았는데요 ㅠㅠ

작물의 다양성은 농민뿐 아니라 식량 소비자의 지속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윤성희 소장은 “종자는 생물자원, 살아 있는 자원이라 사라지면 복원이 안 된다”며 “다양한 종자가 지속되려면 종자 다루는 데에 전문가인 농민이 생업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시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토종이지만 외국산보다 잘 팔리는 한우, 인삼을 사례로 들었다.

유전자조작식품의 위험성에 대해 다룬 kbs 다큐멘터리입니다. 화질이 그닥이긴 하지만, 시청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실제 위험성에 대해 동물 실험 내용과 인체 유해성에 대해 다뤘네요. 충격적입니다 ㅠ_ㅠ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비(NAS)는 지난 17일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GMO를 먹어도 건강을 해칠 염려가 없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GMO를 경계하는 일부 국가 정책과 상충해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미국에서는 GMO를 거부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분위기가 있어왔고, 많은 기업들이 ‘GMO-free’ 등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추려는 기...

우리나라에서 GMO 작물을 야외에서 시험 재배한 사실이 드러났다네요. 정말 사실일까요?

에너지와 기후변화, 우리의 선택(김현진 서울과학종합대학교 교수)

점점 늘어나고 있는 몽골의 환경난민! 환경난민을 아시나요?

종이컵은 어쩌다가 발명되었을까요? "민간보건연구소의 연구원이던 사무엘 크럼빈이 '인간을 바이러스로부터 구하는 길은 오직 1회용 컵을 사용하는 것뿐이다'라며 휴그 무어가 발명한 종이컵을 두둔하자 종이컵의 판매량은 더욱 급등한다."는 구절을 눈여겨 보면 좋겠네요.

미세먼지만이 문제가 아니네요. 일기예보 보실때 오존도 체크해야겠습니다~

한국이 미국 다음으로 1인당 GMO소비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GMO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있네요.

기호4 GMO 완전표시제법 콩 20kg, 옥수수 25kg. 2014년 기준으로 국민 1인당 1년에 유전자변형농산물(GMO)로 섭취하는 곡물량이다. 유채(카놀라), 면화, 사탕무, 새싹채소 등 GMO 종류도 다양하다. 한국은 일본과 식용 GMO 수입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GMO가 식탁에 오른 지 꼭 20년이 됐지만 ‘생명체의 암호’인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바...

http://slownews.kr/46426#comment-2328770506 이 댓글까지 읽어 보세요.

산불을 염소로 막는 다는 발상. 참신하네요 ㅎㅎ 근래에 보기드문 자연으로 자연을 지키는 방법이 아닌가 합니다. ㅎㅎ

지구온난화 때문에 열대지방에서 살던 맹독성 말벌이 서식지를 더 위쪽으로 옮김으로써 생기는 문제들이라고 하네요. 우리 나라도 동남아의 맹독 말벌들이 올라오는 중이라는 군요.. 한국 말벌도 무서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