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골든 라이스...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지 잘 모르겠어요. 분명 장점도 있는 것 같아요.

2개의 댓글

해외에서도 GMO관련 오해와 진실에 대한 갑론을박은 치열하네요. 우선 선공유! 후필독 ㅇㅅㅇ;

이 쪽에 이미 원전이 있고, 새로 원전도 짓겠다고 하는데 불안하네요.

오늘 산 생수는 어떤 걸까요 ㅜ 이름 다 밝히지 왜 a사인지.

3개의 댓글

이것이 진정한 재활용 아닐까요?ㅋㅋ

2개의 댓글

아. 지엠오 관리가 허술해서 한국땅에서 자생을 하게 된 거였군요...

러시아는 GMO 금지하는 법을 만들었네요.

"민단체인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가 지난달 17일 ‘GMO 표시기준 개정고시안’에 대한 5000여 장의 의견서를 식약처에 제출하고 지난달 20일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20대 국회의원 36명이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개정고시안 철회를 요구하는 등 다수의 반대여론에 부딪쳤기 때문이다." 어떤 쟁점이 있었는지 한번 살펴 보세요.

GMO쟁점을 설명하고, 앞으로 토론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인터뷰네요. 가볍게 쟁점을 훑을 수 있는 자료입니다.

노벨상 수상자 108명이 'GMO 반대를 그만하라'고 말했네요.

GMO 작물에 대한 모든 우호적인 기사들, 논문들 뒤에 음모가 자리잡고 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그리고 기업과 언론과의 관계에서 후원금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관계를 숨긴다면 '숨겨야한 하는 뭔가'가 있다고 생각들 수밖에 없는 건 어쩔 수 없네요 ^^;;

@seamire 님이 공유해주신 자료를 올립니다. 유해성 논란 외의 이슈들을 다룬 자료입니다.

식용 GMO수입은 세계 1위인데, 표기는 0이군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아주 맛있게 GMO를 먹고 있었네요. 허허

1개의 댓글

비의도적 혼입율. 현재는 3%미만은 표시제외대상입니다. 식품업계와 농업종사자들은 5%로 높여야한다고 주장하고, 소비자들은 철저한 관리를 통해 1%로 낮춰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네요. 둘의 주장 모두 납득이 가는 부분이지만, 소비자들의 알권리가 더 중요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제가 소비자이므로 그렇겠지요...)

설악산 케이블카에 반대하는 행동이 열렸네요.

3개의 댓글